새해 들어 벌써 7차례나 무력 도발을 이어온 북한. <br /> <br />지난 5일부터 사흘 연속 서해 접경 지역에서 총 350발의 포 사격을 이어가더니 <br /> <br />지난 14일엔 고체연료 연료를 사용한 극초음속 미사일이라며 중거리 탄도미사일을 쐈죠. <br /> <br />19일엔 수중 핵무기 시험에 성공했다고 주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리고 24일 서해로 쏜 순항미사일을 나흘 만인 어제 동해 신포 일대에서 다시 발사했습니다. <br /> <br />[리춘히 / 조선중앙TV 아나운서 : 김정은 동지께서 1월 28일 오전 당 중앙위원회 비서들, 해군 사령관, 기타 지도 간부들과 함께 새로 개발된 잠수함 발사 전략 순항미사일 불화살-3-31형 시험 발사를 지도하셨습니다.] <br /> <br />탄도미사일과 극초음속 미사일을 잇따라 쏜 북한이 최근엔 국제사회 대북 제재 대상이 아닌 순항미사일 발사 빈도를 높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순항미사일만 놓고 보면, 지난해 3월 이후 벌써 6번째 발사인데요. <br /> <br />대량살상무기로 분류되는 탄도미사일뿐 아니라 정밀 타격이 가능한 순항미사일까지 확보해 전략 무기체계를 다양화함으로써, 한국과 미국의 미사일 방어망에 과부화를 초래하겠다는 의도로 읽힙니다. <br /> <br />[조한범 /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 : UN 결의는 모든 탄도미사일 기술을 적용한 발사를 금지하는 건데 순항미사일은 본인들이 얘기하는 자위권이라고 얘기할 수 있거든요. 그러니까 국제법적으로 위반된 게 아니거든요. 그런데 우리로서는 군사적인 피로감이 극대화되는 거죠.] <br /> <br />여기에다 북한은 발사 플랫폼도 다변화하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지난 24일 서해상으로 발사한 순항미사일은 육지에서 발사한 것으로 파악되는데 어제는 잠수함에서 발사했다고 발표했습니다. <br /> <br />수중에서 기동하는 잠수함은 사전에 탐지가 불가능해서 발사 원점을 숨길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[김용현 / 동국대 북한학과 교 : 지상에서 발사한 크루즈 미사일은 사전에 탐지가 가능한 영역이고 잠수함에서 발사되는 크루즈 미사일, 순항미사일은 사실상 발사가 이루어진 다음에서야 확인이 될 수 있는 겁니다. 그러니까 전혀 대응이 불가능하다. 음파를 수중으로 쏴서 음파를 측정해서 할 수 있는데 수중에는 수많은 물고기가 생존해 있지 않습니까? 고래에서 나오는 음파도 있고….] <br /> <br />특히 김정은 위원장은 최근 남한을 주적으로 표현하는 등 대남 발언 수위를 높이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어제도 "해군 핵 무장화 실현과 국가 핵 억제력의 작용 공간을 다각적... (중략)<br /><br />YTN 이여진 (listen2u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40129140602298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